(다음은 ‘크리스천투데이’ 2015.11.14일 이대웅 기자가 작성한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제31차 정기논문발표회에 관한 기사 중 최덕성 교수가 웨슬리에 관하여 발제한 내용이다)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회장 한상화 박사) 제31차 정기논문발표회가 서울 방배동 백석대학교 목양동에서 개최됐다. 이날 발표회에서는 최덕성 박사(브니엘신학대학원 총장)가 ‘존 웨슬리의 이단 관용정신’을 주제로 발제하면서 감리교 창시자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2)에 대해 “이단 관용 정신과 이단 옹호 태도를 갖고 있었다”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발표는 최근 감리교 한 집사가 칼빈을 ‘학살자’로 묘사하면서 반박과 재반박이 오가는 시점에서 진행돼 더욱 관심을 끌었다. 존 웨슬리는 몬타누스와 펠라기우스, 세르베투스를 이단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이단 판별의 기준으로 ‘삶의 거룩함과 경건성, 성결성’ 등을 제시했다. 최덕성 박사는 “이 같은 웨슬리의 태도는 자신이 이단자처럼 취급당하는 데 대한 방어적 동기에서 나온 점을 고려해도 과유불급”이라며 “그리스도의 교회를 혼합주의로 이끄는 위험성을 지니고, 기독인의 관심을 성경적 진리에서 멀어지게 하며 교회의 진리에 대한 민감성을 앗아 간다.”고 비판했다.

최덕성 박사는 “웨슬리의 이단 평가는 놀라울 정도로 파격적으로, 자신의 갈등 상황과 직결된 구원론·교회론과 관련해 이단자에 대한 전통적 견해를 거부한다”며 “그는 삶이 거룩하고 귀신을 내쫓는다면 견해(opinion)가 다른 자들과 얼마든지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러한 이단 관용 정신은 경건주의의 오류와 동일한 편파성, 주관성, 성령주의-열광주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먼저 2세기 기독교회의 주류에서 벗어난 운동들 중 하나였던 ‘몬타누스(Montanus)’에 대해 “웨슬리는 몬타누스가 2세기 기독교회의 타락을 막으려 거룩함과 성결을 강조하고 가르치다 이단자로 몰렸다며 ‘타락한 교회의 이단 정죄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하였다”며 “웨슬리는 몬타누스의 성령 체험과 환상, 황홀경 체험 같은 주관적·열광주의적 요소들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자신의 부흥운동과 동일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으로 이를 통해 자신에 대한 영국국교회의 비난에 응전했던 것”이라고 했다.

▲ 존 웨슬리의 흉상

최 교수는 “웨슬리의 몬타누스를 강변함으로써 자신들의 메소디스트 운동이 이단 운동이 아님을 말하고 싶었던 것인데, 이는 웨슬리의 이단 해석이 자신의 정황과 처지가 진리 이해와 이단 판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콘텍스트가 텍스트 해석에 무슨 영향을 미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 주는 것”이라며 “몬타누스주의는 기독교 표준들에서 이탈한 운동이었으나, 오늘날 성령주의 운동, 오순절파 운동, 은사주의 운동, 방언 운동, 기도원 운동, 신비주의 운동, 극단적 종말론 등에서 왕성하게 부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인간의 자유의자와 행위를 강조하다 카르타고 공의회(418)에서 이단자로 정죄된 펠라기우스(Pelagius, 354-418)에 대해서는 “펠라기우스의 사상은 웨슬리의 신학적 견해인 아르미니우스주의, 그리고 그가 주장하는 완전성결론과 구원을 완성하기 위한 신자의 참여와 일치한다.”, “웨슬리는 펠라기우스의 주장과 견해가 자신에게 긍정적으로 이바지하는 면을 간파했고, 그에 대해 ‘고대 저자들 가운데 지혜와 거룩함을 동시에 지닌 인물이었다’고 말한다”고 설명했다.

최덕성 교수는 “웨슬리는 어거스틴의 예정론과 선택 교리에 반대하면서, 펠라기우스가 자유의지를 강조한 사실에 주목하고 예정론이 믿음으로 복음을 받아들이는 것을 약화시킬 수 있고 율법무용론의 위험이 있다고 봤다”며 “펠라기우스에 대한 우호적 관점은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대한 웨슬리의 우호적 시각과 연계되고, 이는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 선택을 강조했던 조지 윗필드(George Whitefield)가 웨슬리와 결별한 까닭이기도 하다”고 했다.

최덕성 교수는 웨슬리가 논란의 인물 ‘세르베투스(Michael Servetus, 1511-1553)’에 대해서도 “이단 정죄의 ‘권위’를 언급하면서 옹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위일체 교리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이단자로 정죄당하고 처형된 세르베투스에 대해, 웨슬리는 ‘삼위일체 교리를 믿지만, 사람에게는 의견과 견해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그 차이로 말미암아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하는 것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는 것.

최 교수는 “웨슬리는 이단자의 죄목을 작성해 준 칼빈에 대해 관용 정신이 부족하다고 지탄했고, 칼빈이 세르베투스의 말을 올바르게 인용했으면 그가 화형당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웨슬리는 세르베투스와 관련하여 종교개혁자들이 신학적 다양성을 훼손했고, 하나님에 대한 진실한 고백이 있다면 신학적 의견에 대한 관용이 허락되어야 마땅하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웨슬리는 신앙 문제로 남을 박해하거나 이단으로 정죄하거나 이단 시비를 거는 사람들에게 항의하고, 성결신학을 강조하는 메소디스트 부흥운동을 광신이자 이단이라 주장하는 자들이야말로 기독교의 본질에서 먼 자들이고 심지어 기독인이 아니라고 단정한다.”, “그는 이단판별 논의에서 이성과 진리, 사랑을 우선하지만, 교회의 이단 정죄자들은 상투적으로 성경과 진리가 기준이라고 말하면서도 실제로는 기득권과 다수 논리, 힘이 더 강하게 작용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단 관용 정신의 이단성’이라는 맺음말에서 “웨슬리의 이단 관용 정신은 ‘예후와 아비나답의 관계(왕하 10:15)’를 연상케 한다”며 “그들은 종교적 이견과 차이를 문제 삼지 말고 하나님과 이웃에 대해 올바른 믿음을 갖고 있으면 손을 잡아야 한다고 말하는데, 그 결과 경건주의의 함정인 편파성과 주관성, 성령주의-열광주의에 빠질 수 있다”고 전했다.

 

최덕성 교수 / 리포르만다(http://reformanda.co.kr/xe/?ckattempt=1)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바른믿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덕성 교수는 고신대학교, 리폼드신학교(M.Div, M.C.ED), 예일대학교(STM), 에모리대학교(Ph.D)에서 연구하였고, 고려신학대학원의 교수였고 하버드대학교의 객원교수였으며, 현재는 브니엘신학교의 총장이다. ‘신학자대상작’으로 선정된「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개혁주의 신학의 활력」,「에큐메니칼 운동과 다원주의」을 비롯한 약 20여권의 귀중한 신학 작품들을 저술하였다. 신학-복음전문방송 <빵티비>(BREADTV)의 대표이며, 온라인 신학저널 <리포르만다>(REFORMANDA)를 운영하며 한국 교회에 개혁신학을 공급하기 위해 정열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학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