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2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멀러 테제, 청교도 거짓복음을 정통으로 둔갑시키는 고난도 기술 멀러 테제, 청교도 거짓복음을 정통으로 둔갑시키는 고난도 기술 질문>목사님, 멀러 테제가 무엇인가요?답변>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아는 대로 말해 보겠습니다. 미국 미시간 주에 있는 칼빈신학교의 교회사 교수였던 리차드 멀러(Richard A. Muller, 1948 ~ 현재)라는 분이 주장한 문제 많은 학설입니다. 핵심은 칼빈 등의 종교개혁자들의 신학과 대략 100년 후 유럽의 교회에 ‘개혁파 정통신앙’(개혁파 교리, Refomed Orthodox Theology)로 정착되던 시대의 신학이 같은 내용의 신학이었는가하는 논쟁의 와중에서 나온 것입니다. 종교개혁자들의 사상이 '웨민고백서'(WCF, 1647년) 등의 신앙고백서와 교리문답들로 문서화되었던 시대의 신학이 과연 칼빈의 종교개혁 신학을 바르게 계승하였는가에 관한 주제의 문제입니다. 최근 저는 역사와 발전 | 정이철 | 2019-07-20 05:27 우리가 아는 청교도 중에 회중파 아닌 청교도는 누구예요? 우리가 아는 청교도 중에 회중파 아닌 청교도는 누구예요? 질문>정이철 목사님, 회중파 청교도가 아닌 청교도는 없습니까? 우리가 알고 있는 청교도 중에 회중파 아닌 청교도가 누구인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종교개혁을 통해 ‘장로교회’, ‘개혁교회’, ‘회중교회’, ‘루터교회’가 탄생했습니다. 정통 개혁신학은 한국과 미국에 많은 장로교회와 유럽에서 발달하여 미국으로 전파된 개혁교회의 신학입니다. 칼빈의 종교개혁 신학에 기초하고 있는 신학입니다. 일반적으로 루터교회와 회중교회의 신학은 정통 개혁신학이라고 평가되지 않습니다.그런데 우리 나라에서는 회중교회의 신학이 ‘청교도 개혁주의’라는 특이한 명성을 얻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것이 개혁신학에서도 최고의 개혁신학이라고 알려졌습니다. 칭의론 등에서 회중교회 신학보다는 루터교회 신학이 역사와 발전 | 정이철 | 2019-06-26 11:48 청교도 신학 무조건 칭송하고 좇으면 크게 넘어질 수 있다 청교도 신학 무조건 칭송하고 좇으면 크게 넘어질 수 있다 필자는 여러 번 종교개혁자 존 칼빈의 개혁신학과 ‘회중교-청교도’의 신학의 방향이 처음부터 달랐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웨민고백서(WCF, 1646) 속에도 “이것이 과연 종교개혁자 칼빈의 신학과 무슨 연관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내용들이 자리하고 있다고 몇 번 말했다.필자는 칼빈의 사상을 비교적 그대로 계승한 ‘장로교-청교도’의 개혁신학과는 상당히 다른 회중교-청교도의 괴이한 사상들이 개혁신학으로 포장되어 버렸다고 외치고 있다. 존 칼빈의 종교개혁 정통신학과 상당히 다른 회중교-청교도의 특이한 사상은 다음과 같다:1)특이하고 역사와 발전 | 정이철 | 2019-04-12 14:56 16세기 장로교-청교도 운동과 회중교-청교도 운동의 시작 16세기 장로교-청교도 운동과 회중교-청교도 운동의 시작 (이 주제에 대해 기존의 정리된 자료가 없으므로 여기 저기를 찾아다니면서 퍼즐 맞추듯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자료가 발견되면 내용은 계속 보충됩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자주 방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영국에서 청교도라는 신앙 물결이 일어날 때, 그 안에 어떤 특성을 가진 분파들이 있었을까? 이것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설명하는 자료를 아직 보지 못했다. 우리가 ‘영국’이라고 부르고 있는 그 지역에 당시 존재하였던 국가들의 정치적 상황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잉글랜드, 아일랜드, 웨일즈, 스코틀랜드라는 나라들이 있었다. 웨일즈는 1536년, 1543년 두 번에 걸쳐 잉글랜드의 헨리 8세에 의해 복속되어 잉글랜드의 왕을 수장으로 삼는 영국국교회에 편입된 상태였다. 아일랜드 역시 1536 역사와 발전 | 정이철 | 2019-04-03 13:58 영국에서 출현한 회중교-청교도 신앙의 역사적 배경 영국에서 출현한 회중교-청교도 신앙의 역사적 배경 필자는 영국에서 발생한 회중교의 신학이 우리에게 청교도라고 알려진 분파의 중심 사상이라고 본다. 회중교가 중심이 되어 발전된 청교도 신학과 존 칼빈의 종교개혁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는 개혁 신학의 내용이 상당히 다르다고 보고 있다. 청교도 신학과 개혁 신학이 다르다는 '필자의 주장'이 앞으로 여러 사람들에게 이해되고 증명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연구를 시작한다. 현재로서는 무엇이 얼마나 다른지 정확하게 그리고 있지 못하고 있다. 시작이 반이라고, 일단 시작을 해 보는 것이다. 그리하면 하나님께서 역사하실 것이라고 믿는다. 현재까지 발견한 회중교-청교도 신학과 개혁 신학의 다른 점은 대략 다음과 같다.1)회심준비론회중교-청교도 신학은 성령의 구원의 은혜가 임하기 전에 먼저 영적 각성 역사와 발전 | 정이철 | 2019-03-28 01:12 처음처음이전이전12끝끝